2024.01.27 (토)

  • 구름조금동두천 0.6℃
  • 구름많음강릉 3.0℃
  • 구름조금서울 1.6℃
  • 맑음대전 1.9℃
  • 구름조금대구 5.9℃
  • 맑음울산 5.2℃
  • 맑음광주 4.3℃
  • 맑음부산 6.7℃
  • 맑음고창 2.4℃
  • 구름많음제주 7.6℃
  • 구름조금강화 -0.4℃
  • 맑음보은 0.9℃
  • 맑음금산 1.9℃
  • 맑음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4.4℃
  • 맑음거제 5.4℃
기상청 제공

사회

대전 서구, 설 연휴 환경오염행위 특별감시·단속 실시

환경오염 예방 활동 및 상황실 운영으로 환경오염행위 적극 대처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 서구는 설 연휴 기간 환경오염 물질 무단배출 등 불법행위 예방을 위해 2월 1일부터 15일까지 15일간 환경오염행위 특별감시·단속 활동을 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위해 폐수배출사업장과 민원발생사업장 등 주요 환경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에 대한 특별점검과 관내 하천에 대한 순찰이 강화된다.

 

특별감시활동은 설 연휴 기간 전·중·후 3단계로 나누어 추진하며, 설 연휴 전 8일까지는 특별감시 대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자율점검 협조문을 발송하는 등 홍보와 함께 자체 점검을 통한 환경오염 사전 예방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또한, 연휴 기간인 9일부터 12일까지는 환경오염행위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상황실이 운영된다.

 

아울러, 특별감시 기간에 위법 사항이 적발된 사업장에 대해서는 행정처분과 동시에 지속적인 관리를 하고, 필요시 배출시설과 방지시설 정상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서철모 청장은 “시설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는 시기인 만큼 환경오염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홍보와 단속 강화를 통해 구민들께서 안심하고 즐거운 설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대전시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협의회 개최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는 26일 대전시교육청, 관내 대학,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대덕산단 등의 부기관장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대전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대전시는 대전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 계획(대전 RISE 계획)의 중점 방향을 제시하고, 정부 기조에 맞춰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교육혁신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시는 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해 9월부터 대학 심층 인터뷰, 전문가 자문회의, 공청회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의견을 지속 수렴해 왔다.   이번 대전 RISE 계획은 대학-지역 수요 기반 출연연 연계형 교육 혁신 체계 구축이라는 기본 방향 아래 지·산·학·연·관 협력생태계를 구축하여 대학을 지역발전의 허브로 육성한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특히, 시는 정부 출연연구기관과 대학의 유기적인 연계-협력 강화를 통해 기술 기반 딥테크 창업을 활성화하고, 기업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과 대학별 강점을 살린 특성화 전략으로 대학의 혁신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주요 추진 방향 및 전략으로 ▲지역 전략산업 등과 연계한 수요맞춤형

대전시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협의회 개최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는 26일 대전시교육청, 관내 대학,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대덕산단 등의 부기관장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대전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대전시는 대전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 계획(대전 RISE 계획)의 중점 방향을 제시하고, 정부 기조에 맞춰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교육혁신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시는 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해 9월부터 대학 심층 인터뷰, 전문가 자문회의, 공청회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의견을 지속 수렴해 왔다.   이번 대전 RISE 계획은 대학-지역 수요 기반 출연연 연계형 교육 혁신 체계 구축이라는 기본 방향 아래 지·산·학·연·관 협력생태계를 구축하여 대학을 지역발전의 허브로 육성한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특히, 시는 정부 출연연구기관과 대학의 유기적인 연계-협력 강화를 통해 기술 기반 딥테크 창업을 활성화하고, 기업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과 대학별 강점을 살린 특성화 전략으로 대학의 혁신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주요 추진 방향 및 전략으로 ▲지역 전략산업 등과 연계한 수요맞춤형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