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27 (토)

  • 맑음동두천 -8.0℃
  • 맑음강릉 0.3℃
  • 박무서울 -4.0℃
  • 박무대전 -3.9℃
  • 박무대구 -2.6℃
  • 맑음울산 -0.5℃
  • 박무광주 -0.3℃
  • 맑음부산 -0.3℃
  • 흐림고창 -2.1℃
  • 흐림제주 6.2℃
  • 맑음강화 -7.2℃
  • 맑음보은 -4.8℃
  • 맑음금산 -3.6℃
  • 맑음강진군 -3.4℃
  • 맑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1.2℃
기상청 제공

사회

예산군, 2023년도 2기분 자동차세 32억원 부과

납부기한 12월 31일까지, 미납 시 가산금 발생 등 불이익

 

충청일보 박사현 기자 | 예산군은 2023년도 2기분 자동차세로 2만547건에 대해 32억4500만원을 부과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달에 과세된 자동차세는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 1억4400만원이 증가한 금액이며, 증액 사유는 실제 부과 대상 차량이 1900여대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자동차세는 매년 6월 및 12월에 부과하는 세목으로 2기분 자동차세는 12월 1일 기준으로 관내에 등록된 자동차, 이륜차, 덤프트럭 소유자에게 부과되며, 연납으로 납부한 차량과 6월에 전액 과세되는 연세액이 10만원 이하인 경차와 화물자동차는 이달에 과세되지 않는다.

 

납부기간은 말일이 주말인 관계로 2024년 1월 2일까지며, 전국 금융기관에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CD/ATM)에서 고지서 없이 본인 통장, 현금카드, 신용카드로 조회 후 납부할 수 있다.

 

이 밖에 위택스나 인터넷지로에 접속하거나 가상계좌(농협), ‘스마트 위택스’ 어플 및 간편결제앱(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을 이용해 납부할 수 있고 특히 계좌이체 시 입금은행으로 ‘지방세입’을 선택할 경우 이체 수수료 없이 자동차세를 납부할 수 있다.

 

군 관계자는 “기간 내 납부하지 않을 경우 3%의 가산금이 발생하는 만큼 과세 대상자는 1월 2일까지 반드시 납부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대전시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협의회 개최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는 26일 대전시교육청, 관내 대학,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대덕산단 등의 부기관장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대전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대전시는 대전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 계획(대전 RISE 계획)의 중점 방향을 제시하고, 정부 기조에 맞춰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교육혁신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시는 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해 9월부터 대학 심층 인터뷰, 전문가 자문회의, 공청회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의견을 지속 수렴해 왔다.   이번 대전 RISE 계획은 대학-지역 수요 기반 출연연 연계형 교육 혁신 체계 구축이라는 기본 방향 아래 지·산·학·연·관 협력생태계를 구축하여 대학을 지역발전의 허브로 육성한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특히, 시는 정부 출연연구기관과 대학의 유기적인 연계-협력 강화를 통해 기술 기반 딥테크 창업을 활성화하고, 기업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과 대학별 강점을 살린 특성화 전략으로 대학의 혁신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주요 추진 방향 및 전략으로 ▲지역 전략산업 등과 연계한 수요맞춤형

대전시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협의회 개최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는 26일 대전시교육청, 관내 대학,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대덕산단 등의 부기관장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대전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대전시는 대전 일류 대학교육 혁신 추진 계획(대전 RISE 계획)의 중점 방향을 제시하고, 정부 기조에 맞춰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교육혁신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시는 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해 9월부터 대학 심층 인터뷰, 전문가 자문회의, 공청회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의견을 지속 수렴해 왔다.   이번 대전 RISE 계획은 대학-지역 수요 기반 출연연 연계형 교육 혁신 체계 구축이라는 기본 방향 아래 지·산·학·연·관 협력생태계를 구축하여 대학을 지역발전의 허브로 육성한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특히, 시는 정부 출연연구기관과 대학의 유기적인 연계-협력 강화를 통해 기술 기반 딥테크 창업을 활성화하고, 기업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과 대학별 강점을 살린 특성화 전략으로 대학의 혁신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주요 추진 방향 및 전략으로 ▲지역 전략산업 등과 연계한 수요맞춤형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