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9 (목)

  • 구름조금동두천 30.0℃
  • 흐림강릉 26.2℃
  • 맑음서울 32.6℃
  • 구름많음대전 30.6℃
  • 구름많음대구 32.1℃
  • 구름많음울산 29.3℃
  • 맑음광주 33.0℃
  • 구름많음부산 32.0℃
  • 맑음고창 32.4℃
  • 구름많음제주 30.4℃
  • 맑음강화 29.8℃
  • 구름많음보은 30.0℃
  • 구름조금금산 33.1℃
  • 구름많음강진군 34.4℃
  • 구름많음경주시 28.2℃
  • 구름많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사회

세종시설공단, 은하수공원 장례식장 9월부터 다회용기 전면 도입 “친환경 장례문화 선도”

 

충청일보 김정운 기자 | 세종특별자치시시설관리공단 은하수공원 장례식장은 오는 9월부터 친환경 장례식장을 위한 다회용기 사용을 정식 도입한다고 밝혔다.

 

공단은 이용객의 혼선을 최소화하고자 다회용기 사용을 위한 시범운영을 지난해 10월 시행했고, 시범운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식 운영하게 됐다.

 

또한, 공단은 이용객의 자발적 참여 및 사용 활성화를 위해 다회용기를 전액 무료로 제공하며, 사용 시 인센티브(할인혜택)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용객이 은하수공원 장례식장에 다회용기를 사용하겠다고 하면, 전문 세척 업체에서 수거해 세척한 후 장례식장에 다시 공급한다. 세척 과정은 에벌세척, 불림, 고온세척, 헹굼, 건조, 살균소독, 검사 등 7단계로 진행된다.

 

조소연 이사장은 “장례식장 일회용품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 참여를 바란다“며 “공공기관으로써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모범이 되는 친환경 ESG경영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제천시, 2024 국민공감 캠페인,'한방치유도시 브랜드' 브랜드대상 수상

충청일보 김문호 기자 | 제천시가 29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진행된 ‘2024 국민공감캠페인’에서 한방치유도시 브랜드대상을 수상하였다. 동아일보에서 주최한 국민공감 캠페인은 수많은 경영전략 및 브랜드 가운데 공감과 소통을 통해 성공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는 사례를 선정하여 시상하는 제도이다. 제천시는 힐링이 되는 자연 친화적인 풍경과 한방인프라를 연계한 한방자연치유센터를 보유하고, 독보적인 한방치유 관광상품을 개발‧운영하며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의 몸과 마음을 모두 치유할 수 있는 최적의 도시로 인정받아 이번 대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성과로는 ▲ 제천약초웰빙특구 운영을 통한 한방특화도시로의 성장(2005년 ~ 현재 / 우수특구 9회 선정) ▲ 한방치유 관광상품인 한방힐링아카데미 운영(2013년 ~ 현재 / 7,315명 수료) ▲ 2024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 및 2025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개최 ▲ 한방 및 천연물산업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 사업추진(천연물전주기표준화 허브구축 공모사업 선정 등)이 있다. 김창규 제천시장은 “제천은 전통적인 한방의 역사성과 이미지에서 한 걸음 나아가 우

제천시, 2024 국민공감 캠페인,'한방치유도시 브랜드' 브랜드대상 수상

충청일보 김문호 기자 | 제천시가 29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진행된 ‘2024 국민공감캠페인’에서 한방치유도시 브랜드대상을 수상하였다. 동아일보에서 주최한 국민공감 캠페인은 수많은 경영전략 및 브랜드 가운데 공감과 소통을 통해 성공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는 사례를 선정하여 시상하는 제도이다. 제천시는 힐링이 되는 자연 친화적인 풍경과 한방인프라를 연계한 한방자연치유센터를 보유하고, 독보적인 한방치유 관광상품을 개발‧운영하며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의 몸과 마음을 모두 치유할 수 있는 최적의 도시로 인정받아 이번 대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성과로는 ▲ 제천약초웰빙특구 운영을 통한 한방특화도시로의 성장(2005년 ~ 현재 / 우수특구 9회 선정) ▲ 한방치유 관광상품인 한방힐링아카데미 운영(2013년 ~ 현재 / 7,315명 수료) ▲ 2024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 및 2025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개최 ▲ 한방 및 천연물산업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 사업추진(천연물전주기표준화 허브구축 공모사업 선정 등)이 있다. 김창규 제천시장은 “제천은 전통적인 한방의 역사성과 이미지에서 한 걸음 나아가 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