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6℃
  • 흐림강릉 2.3℃
  • 구름많음서울 4.2℃
  • 구름조금대전 4.5℃
  • 흐림대구 5.7℃
  • 흐림울산 5.8℃
  • 흐림광주 6.8℃
  • 흐림부산 6.5℃
  • 흐림고창 5.3℃
  • 제주 10.9℃
  • 구름많음강화 2.5℃
  • 맑음보은 4.9℃
  • 구름조금금산 5.1℃
  • 구름많음강진군 6.2℃
  • 맑음경주시 5.6℃
  • 흐림거제 7.1℃
기상청 제공

사회

예산군농업기술센터, 농촌체험관광연구회 연시총회 및 과제교육 개최

연중 사업계획 수립으로 회원간 네트워크 구축과 농촌체험 활성화 도모

 

충청일보 박사현 기자 | 예산군농업기술센터는 지난 18일 농업기술센터 세미나실에서 2024년 농촌체험관광연구회 연시총회 및 과제교육을 개최했다.

 

이번 연시총회는 농촌체험관광연구회원 30명을 대상으로 회원간 농촌체험 경쟁력을 강화하고 네트워크 구축 및 역량강화 교육을 통한 농촌체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추진됐다.

 

총회는 연중 사업계획 수립과 당면 현안업무를 토의하고 회원들 간의 상호 정보를 교류의 시간으로 마련됐으며, ‘나무있슈 협동조합’ 장은선 강사의 우드버닝 생활쟁반 만들기 교육이 진행돼 호응을 얻었다.

 

이번 교육은 △안전하고 올바른 수공구 사용법 △천연자연물인 나무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와 오감 활동 통한 마음치유 방법 △우드버닝 기법 익히기와 우드트레이 만들기 순으로 진행됐다.

 

농촌체험관광연회 이희숙 회장은 “2024년 푸른 용의 해를 맞아 침체됐던 농촌체험관광연구회를 활성화하고 예산 농촌체험관광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연말총회시 회장 이희숙, 부회장 송순단, 감사 권영남, 최경숙으로 새로운 임원이 선출돼 2025년까지 2년간 예산군농촌체험관광연구회를 이끌게 된다.

대전시,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꿈꾸리’개소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는 대전광역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인 ‘꿈꾸리’를 마련한다.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 꿈꾸리는‘학교 밖 청소년들이 자신의 꿈을 찾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로, 학교 밖 청소년들이 편안하게 독서, 영화감상, 또래 소통, 회의 등을 할 수 있는 쉼과 채움의 힐링 공간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이 달 23일 대전청소년위캔센터 6층에서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 개소식을 가질 예정이며, 해당 공간은 학교 밖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 꿈꾸리가 학교 밖 청소년이 자유롭게 활동을 하고 또래 간에 소통할 수 있는 편안한 공간이 됐으면 한다”라고 말헀다.   한편,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는 대전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9세부터 24세까지 학업 중단 및 미취학 청소년들을 위한 상담 지원, 교육지원, 자립 지원, 자기 계발, 건강검진, 급식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전시 특화사업으로 교통비, 문화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꿈키움 수당을 지원하고 있다.   대전시 학교

대전시,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꿈꾸리’개소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는 대전광역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인 ‘꿈꾸리’를 마련한다.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 꿈꾸리는‘학교 밖 청소년들이 자신의 꿈을 찾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로, 학교 밖 청소년들이 편안하게 독서, 영화감상, 또래 소통, 회의 등을 할 수 있는 쉼과 채움의 힐링 공간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이 달 23일 대전청소년위캔센터 6층에서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 개소식을 가질 예정이며, 해당 공간은 학교 밖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 꿈꾸리가 학교 밖 청소년이 자유롭게 활동을 하고 또래 간에 소통할 수 있는 편안한 공간이 됐으면 한다”라고 말헀다.   한편,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는 대전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9세부터 24세까지 학업 중단 및 미취학 청소년들을 위한 상담 지원, 교육지원, 자립 지원, 자기 계발, 건강검진, 급식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전시 특화사업으로 교통비, 문화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꿈키움 수당을 지원하고 있다.   대전시 학교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