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31 (수)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10.8℃
  • 맑음서울 10.4℃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14.6℃
  • 맑음울산 13.1℃
  • 맑음광주 15.7℃
  • 구름조금부산 14.8℃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4.5℃
  • 맑음강화 8.7℃
  • 맑음보은 12.6℃
  • 맑음금산 13.1℃
  • 흐림강진군 13.3℃
  • 맑음경주시 15.0℃
  • 맑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사회

예산군, 올해부터 취약계층에 주거급여 지원 확대 추진

기준중위소득 48%로 늘려

 

충청일보 박사현 기자 | 예산군은 2024년 기초주거급여 지원범위를 기준중위소득 48%로 확대 추진한다.

 

기초주거급여는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임차 가구에는 임대료를 지원하고 자가 가구에는 수선유지(집수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기초주거급여 선정기준이 기준중위소득 48%로 확대됨에 따라 선정기준은 △1인가구 106만9654원 △2인 가구 176만7652원 △3인 가구 226만3035원 △4인 가구 275만358원으로 각각 확대되며, 임차급여는 소득인정액 및 가구원수별로 기준임대료 내에서 지원된다.

 

또한 군의 주거급여는 4급지(그 외 지역) 기준 임대료 이내에서 지원되며, △1인가구 최대 17만8000원 △2인 가구 최대 20만1000원 △3인 가구 최대 23만9000원 △4인 가구는 최대 27만8000원까지 지원된다.

 

자가 가구에 대해서는 주택 노후도에 따라 경보수(457만원/3년 주기), 중보수(849만원/5년 주기), 대보수(1241만원/7년 주기)로 구분해 수선유지급여(집수리)를 지원한다.

 

기초주거급여 지원 확대에 따라 이전 연도에 소득인정액 초과로 인해 기초주거급여 수급이 제한된 가구 일부는 재신청 및 재심사 시 기준에 적합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군 관계자는 “주거급여 기준 범위 확대로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는 만큼 군민에게 적극적인 홍보를 펼쳐 주거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 바이오클러스터의 보스턴 따라잡기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가 대전테크노파크와 함께 기술창업에 날개를 달아줄 혁신 네트워크‘대전혁신기술교류회(D-ITEC) ’을 개최하고, 두 번째 테마로 정밀 의료바이오헬스분야로 정했다.   이번 기술발제는 대전바이오헬스케어협회 맹필재 회장이 “대전바이오 클러스터의 보스턴 따라잡기로”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맹필재 회장은 특히 자생적으로 성장한 대전 바이오 창업생태계 분석과 대전바이오가 전략적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주제 발표 후에는 대전테크노파크에서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자율 네트워킹과 함께 기업 상담도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다.   교류회는 오는 2월 6일 16시, D-유니콘라운지에서 개최되며, 창업기업인을 포함하여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참여 신청은 네이버폼 또는 포스터 상단 QR코드로 가능하며, 자세한 문의는 대전테크노파크 기술사업화팀으로 하시면 된다.

대전 바이오클러스터의 보스턴 따라잡기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가 대전테크노파크와 함께 기술창업에 날개를 달아줄 혁신 네트워크‘대전혁신기술교류회(D-ITEC) ’을 개최하고, 두 번째 테마로 정밀 의료바이오헬스분야로 정했다.   이번 기술발제는 대전바이오헬스케어협회 맹필재 회장이 “대전바이오 클러스터의 보스턴 따라잡기로”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맹필재 회장은 특히 자생적으로 성장한 대전 바이오 창업생태계 분석과 대전바이오가 전략적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주제 발표 후에는 대전테크노파크에서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자율 네트워킹과 함께 기업 상담도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다.   교류회는 오는 2월 6일 16시, D-유니콘라운지에서 개최되며, 창업기업인을 포함하여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참여 신청은 네이버폼 또는 포스터 상단 QR코드로 가능하며, 자세한 문의는 대전테크노파크 기술사업화팀으로 하시면 된다.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