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6 (화)

  • 구름조금동두천 -2.1℃
  • 구름조금강릉 1.9℃
  • 구름조금서울 0.8℃
  • 구름많음대전 0.7℃
  • 구름조금대구 3.4℃
  • 구름많음울산 4.0℃
  • 구름많음광주 5.0℃
  • 구름많음부산 5.8℃
  • 구름많음고창 0.7℃
  • 구름많음제주 9.2℃
  • 구름많음강화 -2.8℃
  • 구름조금보은 0.0℃
  • 구름많음금산 -1.0℃
  • 구름많음강진군 4.9℃
  • 구름많음경주시 3.0℃
  • 구름조금거제 4.3℃
기상청 제공

교육

충북교육청, 고교 1년생 진로변경 전입학제 원서 접수

20일까지 소속학교로 원서 제출, 내년 1~2월 중 확정

 

충청일보 김문호 기자 | 충청북도교육청이 2023학년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반기 일반고-특성화고 간 진로변경 전입학제'를 시행한다.

 

진로변경 전입학제는 진로 적성이 맞지 않는 학생들에게 계열 변경 전입학 기회를 제공해 개인의 소질과 적성계발을 지원하는 제도로서 2013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지원 가능한 대상은 도내 일반고 또는 특성화고 1학년 재학생이며, 상․하반기 말에 연 2회 운영하고 있다.

 

하반기 전입학 허가 예정 인원은 총 76교, 309명이다.

 

일반고로의 전입학 허가 예정인원은 ▲청주 평준화 일반고 19교, 52명 ▲충주 평준화 일반고 6교, 9명 ▲음성군 맹동면과 진천군 덕산읍 평준화 일반고 2교 16명 ▲비평준화 일반고 26교 42명으로 53교 119명이며, 특성화고로의 전입학 허가 예정인원은 23교 190명이다.

 

전입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도교육청 누리집 공지사항에 게재되어 있는 전입학 허가 예정 인원을 참고해 학교 상담 등을 통해 20일까지 재학중인 학교에 배정원서를 제출하면 도교육청에서 심사하여 내년 1~2월 중 배정한다.

 

장원숙 중등교육과장은 “진로변경 전입학제는 학생의 소질과 적성에 적합한 계열 변경 전입학 기회를 제공해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 만족도를 제공하는 제도이다.”며, “교육수요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스스로 미래 진로, 직업에 대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 지속 가능한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진로변경 전입학제로 ▲2018년 175명 ▲2019년 185명 ▲2020년 89명 ▲2021년 108명 ▲2022년 122명의 학생이 기회를 제공받았다고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 국무회의 주재하며 현행 91개 법정부담금 전수조사를 통한 전면 개편 지시

 충청일보 김은경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1월 16일 오전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현행 91개에 달하는 법정부담금을 전수조사해 전면 개편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대통령은 ‘준조세’나 ‘그림자 조세’로 악용되는 부담금이 있다면 과감하게 없애 국민과 기업의 부담을 덜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3년 말을 기준으로 현재 18개 부처에서 91개의 부담금을 운용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22.4조 원이 징수됐다. 대통령은 “부담금이란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는 행위에 예외적으로 부과하는 것이지, 재원 조달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남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이 끝난 뒤에는 새로 임명된 조태열 외교부 장관, 유철환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의 인사말이 있었습니다. 조 장관은 “지난 2년 글로벌 중추 국가 실현을 위해 대통령께서 이룩한 외교적 성과를 바탕으로 엄중한 대외환경을 헤쳐 나가고 번영을 이끌어가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 위원장은 “국민의 권익 보호와 청렴한 사회 구현을 담당하는 권익위의 책임을 다하고, 취약계층과 국민 고충 처리 문제에 적극 대처하겠다”며 “청렴과 공정의 측면에서

윤석열 대통령, 국무회의 주재하며 현행 91개 법정부담금 전수조사를 통한 전면 개편 지시

 충청일보 김은경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1월 16일 오전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현행 91개에 달하는 법정부담금을 전수조사해 전면 개편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대통령은 ‘준조세’나 ‘그림자 조세’로 악용되는 부담금이 있다면 과감하게 없애 국민과 기업의 부담을 덜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3년 말을 기준으로 현재 18개 부처에서 91개의 부담금을 운용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22.4조 원이 징수됐다. 대통령은 “부담금이란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는 행위에 예외적으로 부과하는 것이지, 재원 조달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남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이 끝난 뒤에는 새로 임명된 조태열 외교부 장관, 유철환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의 인사말이 있었습니다. 조 장관은 “지난 2년 글로벌 중추 국가 실현을 위해 대통령께서 이룩한 외교적 성과를 바탕으로 엄중한 대외환경을 헤쳐 나가고 번영을 이끌어가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 위원장은 “국민의 권익 보호와 청렴한 사회 구현을 담당하는 권익위의 책임을 다하고, 취약계층과 국민 고충 처리 문제에 적극 대처하겠다”며 “청렴과 공정의 측면에서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