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8 (수)

  • 맑음동두천 26.2℃
  • 구름많음강릉 26.3℃
  • 맑음서울 29.9℃
  • 구름조금대전 29.1℃
  • 흐림대구 27.5℃
  • 구름많음울산 26.8℃
  • 맑음광주 30.5℃
  • 부산 26.4℃
  • 맑음고창 30.6℃
  • 흐림제주 28.1℃
  • 맑음강화 28.1℃
  • 구름조금보은 27.7℃
  • 구름조금금산 28.4℃
  • 구름조금강진군 ℃
  • 흐림경주시 26.1℃
  • 구름많음거제 27.1℃
기상청 제공

교육

대전교육청, 2024 종합감사 '감사참관인제' 운영

'감사참관인제' 학부모 참관 설문 결과 만족도 UP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광역시교육청은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종합감사를 실시한 19개교(고16, 특수2, 각종1)에서 감사참관인제 운영 했다고 밝혔다.

 

감사참관인제는 대전광역시교육청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는 일반시민 참관과 종합감사 수감학교장이 추천하는 학부모 참관으로 운영하고 있고, 2024년도 해당 기간에는 종합감사를 실시한 19개교에서 42명의 학부모가 참관하여, 설문으로 감사 개선 및 대전교육청 청렴도 향상을 위한 좋은 의견을 주었다.

 

설문 결과, 참관 동기는 ‘자발적인 참여와 관심(33명, 78.6%)’이 가장 많았고, 감사 운영 및 규모는 대다수 현 상황을 긍정(32명, 76.2%)했다.

 

또한 감사 담당 공무원의 향응 제공‧수수 여부는 ‘그런 일이 없다’에 42명(100%), 감사 태도는‘권위적이지 않고 친절하다’에 38명(90.5%)이 응답하여 종합감사 운영 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중점을 두어야 할 감사 분야는 ‘교육과정 운영, 학교급식, 시설공사, 성적‧학적 관리’등의 순으로 응답하여 학부모들의 관심 분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차원 대전교육청 감사관은 “하반기에도 적극적인'감사참관인제' 운영으로 학부모님들의 고견을 수렴하고 감사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함으로써, 감사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견고히 하겠다”라고 말하며, “열린 감사시스템의 정착을 통한 청렴한 대전교육”을 다짐했다.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에 역대 최고 규모인 2.34조원 투자한다

충청일보 김은경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도 기초연구사업 예산을 역대 최고 규모인 2.34조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4년 2.12조원과 비교하여 약 10.5%가 증가한 수준이다. 과기정통부 2025년도 기초연구예산은 작년 연구개발(R&D) 예산 쟁점에 따른 연구 현장의 우려와 현안에 적극 대응함과 동시에 혁신성과 전략성 바탕의 기초연구 강화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확대됐다. 작년 기초연구사업의 계속지원 과제 예산이 삭감되고, 생애기본연구가 폐지되어 젊은 연구자들을 비롯한 연구자들의 연구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학생연구원 및 박사후연구원의 학업·연구환경이 저해됐다는 현장의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먼저 기초연구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삭감된 계속지원 과제에 대해 2023년 수준으로 지원하여 보완한다. 또한, 연구 분야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연구자들의 연구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소규모지만 우수한 연구를 지원하는 `창의 연구'의 신규 과제를 대폭 확대했다. 아울러, 젊은 연구자가 다양한 연구기회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우수 신진연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에 역대 최고 규모인 2.34조원 투자한다

충청일보 김은경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도 기초연구사업 예산을 역대 최고 규모인 2.34조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4년 2.12조원과 비교하여 약 10.5%가 증가한 수준이다. 과기정통부 2025년도 기초연구예산은 작년 연구개발(R&D) 예산 쟁점에 따른 연구 현장의 우려와 현안에 적극 대응함과 동시에 혁신성과 전략성 바탕의 기초연구 강화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확대됐다. 작년 기초연구사업의 계속지원 과제 예산이 삭감되고, 생애기본연구가 폐지되어 젊은 연구자들을 비롯한 연구자들의 연구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학생연구원 및 박사후연구원의 학업·연구환경이 저해됐다는 현장의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먼저 기초연구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삭감된 계속지원 과제에 대해 2023년 수준으로 지원하여 보완한다. 또한, 연구 분야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연구자들의 연구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소규모지만 우수한 연구를 지원하는 `창의 연구'의 신규 과제를 대폭 확대했다. 아울러, 젊은 연구자가 다양한 연구기회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우수 신진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