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01 (목)

  • 구름조금동두천 4.0℃
  • 흐림강릉 -0.4℃
  • 연무서울 4.9℃
  • 연무대전 5.0℃
  • 흐림대구 6.2℃
  • 울산 5.1℃
  • 연무광주 7.1℃
  • 부산 7.4℃
  • 흐림고창 3.9℃
  • 제주 9.3℃
  • 구름조금강화 1.9℃
  • 흐림보은 6.9℃
  • 흐림금산 6.1℃
  • 흐림강진군 5.9℃
  • 흐림경주시 4.9℃
  • 흐림거제 8.2℃
기상청 제공

충남

지난해 ‘홍성’ 찾은 관광객 전년 대비 30% 증가

2022년 대비 2023년 주요관광지점 입장객 수 89,557명 증가

 

충청일보 박사현 기자 | 홍성군을 찾는 관광객 수가 전년 대비 약 30%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체부에서 운영하는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등록된 2023년 홍성군 주요 관광지점 관광객 수는 2022년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 수 312,772명에서 89,577명 증가한 402,349명을 기록했다.

 

총 15개의 관광지점 중 가장 눈에 띄게 관광객 수가 증가한 곳은 ▲수선화 마을로 유명한 거북이마을(증 11,582명) ▲전국 최초 유기농업 마을 문당환경농업마을(증 1,682명) ▲전국 최초 에너지 자립섬 힐링섬 죽도(증 7,574명) ▲청룡의 기운이 가득한 용봉산(증 39,956명) ▲천년의 역사 홍주성천년여행길(17,123명)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주요 관광지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제1회 글로벌 바베큐 페스티벌 in 홍성에 찾은 관광객 수 약 42만명, 남당항해양분수공원에 개최한 남당항 대하축제 기간 중 방문객 수가 약 13만명을 기록했다.

 

군에 따르면 2024년에는 서부해안 관광의 중심인 남당항 네트어드벤처, 서해의 관문인 홍주읍성, 홍주성지순례길이 신규 관광지점으로 등록됨에 따라 홍성군의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 수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군은 홍성을 찾는 관광객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많은 관광객들이 즐겨찾는 인기 관광지로 발돋움하기 위해 차별화된 관광프로그램 개발 및 관광 인프라 구축을 통해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체류형 관광지를 조성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용록 홍성군수는 “민선 8기 홍성군 대표 관광브랜드 육성이라는 관광정책 실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고 단계적으로 실현해 나가고 있다.”라며 “홍성만의 매력적인 관광자원을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장우 대전시장 “총선은 대전발전의 기회, 힘 모으자”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는 4.10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지역공약에 반영하기 위한 지역 발전 과제 36건을 발굴하고, 각 당 대전시당에 공약화를 건의하기로 했다.   대전시는 그동안 각 부서와 대전세종연구원, 자치구 등을 통해 사전 발굴한 126건을 검토해 지역 발전의 파급력 등을 고려하여 36건의 대전발전과제를 선정했다.   36건의 대전발전과제는 도시, 생활분야 12건, 산업, 경제분야 14건, 교통, 철도분야 10건으로 전체 추정사업비는 26조 4,132억 원 규모이다.   도시, 생활 분야로는 혁신도시 공공기관(연축혁신도시, 대전역세권), 대전교도소 이전사업 추진, 호국보훈파크 조성, 노은·오정농수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추진, 원자력안전교부세 신설, 금강권 기후·환경 생태관 건립, 항공·우주 공립 전문과학관 조성, 국립게임문화박물관 유치, 한밭수목원 명품화, 대전역 공공주택지구 조성, 대전 가공배전선로 지중화 추진, 도시개발 KOGAS(중촌관리소) 이전 등 12개 사업 제안이다.   산업, 경제 분야로는 한국첨단반도체기술센터 설립, 대덕양자클러스터 조성, K-켄달스퀘어 조기 조성, 웹툰 IP

이장우 대전시장 “총선은 대전발전의 기회, 힘 모으자”

 충청일보 곽채영 기자 | 대전시는 4.10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지역공약에 반영하기 위한 지역 발전 과제 36건을 발굴하고, 각 당 대전시당에 공약화를 건의하기로 했다.   대전시는 그동안 각 부서와 대전세종연구원, 자치구 등을 통해 사전 발굴한 126건을 검토해 지역 발전의 파급력 등을 고려하여 36건의 대전발전과제를 선정했다.   36건의 대전발전과제는 도시, 생활분야 12건, 산업, 경제분야 14건, 교통, 철도분야 10건으로 전체 추정사업비는 26조 4,132억 원 규모이다.   도시, 생활 분야로는 혁신도시 공공기관(연축혁신도시, 대전역세권), 대전교도소 이전사업 추진, 호국보훈파크 조성, 노은·오정농수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추진, 원자력안전교부세 신설, 금강권 기후·환경 생태관 건립, 항공·우주 공립 전문과학관 조성, 국립게임문화박물관 유치, 한밭수목원 명품화, 대전역 공공주택지구 조성, 대전 가공배전선로 지중화 추진, 도시개발 KOGAS(중촌관리소) 이전 등 12개 사업 제안이다.   산업, 경제 분야로는 한국첨단반도체기술센터 설립, 대덕양자클러스터 조성, K-켄달스퀘어 조기 조성, 웹툰 IP




칼럼